Notice
Recent Pos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항공사 기업결합
- 넷플릭스광고
- 넷플릭스 1위
- 신비한동물사전
- 공정위 전속고발권
- 생성형 AI
- 노사간협의
- 현대차 채용일정
- 애플페이 언제
- 오색 케이블카
- 금리
- 애플페이 사용처
- 신비한동물사전4
- 주69시간제
- 소비자물가지수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 대한항공 기업결합
- 한국기준금리
- 넷플릭스광고요금제
- 공공요금인상
- 현대차 400명채용
- 넷플릭스가격
- 독과점문제
- 넷플릭스
- 챗GPT 기능
- 장기간 노동
- 실내마스크해제
- 주64시간제
- iOS 14 업데이트
- 넷플릭스 영화추천
Archives
펜시브
2023 아이 돌봄 지원 서비스 시간 증가 본문
2023년에는 여러가지 변화와 함께
아이 돌봄과 관련한 소식도 있는데요.
흔히 맞벌이 부부일 경우
평일에 아이를 어떻게 돌봐야하나
고민이 많으실텐데요.
올해 들어 아이 돌봄 지원 서비스의
이용 시간이 늘어난다고 합니다.
기존에 매일 3시간 30분,
1년에 840시간 이용할 수 있었던
아이 돌봄 서비스는
올해부터는 매일 30분 확대된
4시간, 일 년에는 총 960시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루 기준 30분,
일 년 기준 120시간 확대된
기준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뿐만 아니라
아이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지원 대상 가구 역시 증가한다고 합니다.
기존에 75,000가구에서
올해 들어 80,000가구까지 늘려
맞벌이 부부에 지원을 강화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아이 돌봄 서비스는
생후 3개월에서 만 12세 자녀를 대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서비스로,
조건에 해당하시는 분은
신청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정책은 낮아지는 출산율과도
무관하지 않은 흐름으로 보이는데요.
불과 작년인 2022년의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그렇기에 부모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사회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기에
시행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속도대로라면 2027년 쯔음에는
영유아가 170만명대가 될 정도로
출산율이 큰 사회적 이슈임을
알 수 있는데요.
해당 정책이 맞벌이 부부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공부하는 곳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전세보다는 월세?! (0) | 2023.01.12 |
---|---|
인구절벽, 우리나라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0) | 2023.01.09 |
2023년 최저임금 인상율 (0) | 2023.01.05 |
"부모 급여"란 무엇일까? (0) | 2023.01.04 |
국내총생산(GDP), 의미와 전망 알아보기 (0) | 2022.11.1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