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시브

물가, 어디까지 오를까? 본문

공부하는 곳/경제

물가, 어디까지 오를까?

토이니 2023. 1. 19. 19:21

 

뉴스에서는 금리 이야기가 들려오고,
쇼핑을 할 때면 물가가 오르는게
체감되는 요즘입니다.


한국은행은 아직 물가가 높다는
판단하에 1월 13일 또 한번
금리인상을 단행했는데요.


이로써 한국의 기준금리는 3.5%로,
미국 금리 4.5%와 1% 차이를 두게 되었습니다.


13일 단행한 금리인상은
0.25P올린 베이비스텝으로,
7연속 금리인상한 결과입니다.


한국은행은 미국과의 금리 차 뿐만 아니라
금리 인상 이유로 물가 안정을
이야기했는데요.


소비자가 물가를 체감할 수 있는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는 12월 109.28
1년 전과 비교해서 5%가 오른 수준입니다.


이러한 상승률은 22년 7월 (6.3%)에
정점을 찍은 후 낮아지고 있지만,
22년 5월 이후 계속해서 5% 대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반면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6%대로, 14개월만의 최저치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향후
금리 조정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앞으로 1년 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말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8%(2022년 12월 기준)
높은 편인데요.


소비자 물가는 지금처럼
5% 내외의 모습을 보일 것이라 하여
당분간 고물가 시대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가 어렵다는 말을 뉴스에서
정말 많이 듣는 요즘인데요.


여러 지표를 보고 예상하며
미래를 읽는 눈을 키우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