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생성형 AI
- 넷플릭스가격
- 대한항공 기업결합
- 애플페이 언제
- 독과점문제
- 주64시간제
- 장기간 노동
- 오색 케이블카
- 현대차 400명채용
- 한국기준금리
- 넷플릭스광고요금제
- 소비자물가지수
- 신비한동물사전4
- 노사간협의
- 신비한동물사전
- 넷플릭스 영화추천
- iOS 14 업데이트
- 주69시간제
- 넷플릭스 1위
- 넷플릭스
- 금리
- 공공요금인상
- 항공사 기업결합
- 실내마스크해제
- 애플페이 사용처
- 현대차 채용일정
- 공정위 전속고발권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 챗GPT 기능
- 넷플릭스광고
Archives
펜시브
물가, 어디까지 오를까? 본문
뉴스에서는 금리 이야기가 들려오고,
쇼핑을 할 때면 물가가 오르는게
체감되는 요즘입니다.
한국은행은 아직 물가가 높다는
판단하에 1월 13일 또 한번
금리인상을 단행했는데요.
이로써 한국의 기준금리는 3.5%로,
미국 금리 4.5%와 1% 차이를 두게 되었습니다.
13일 단행한 금리인상은
0.25P올린 베이비스텝으로,
7연속 금리인상한 결과입니다.
한국은행은 미국과의 금리 차 뿐만 아니라
금리 인상 이유로 물가 안정을
이야기했는데요.
소비자가 물가를 체감할 수 있는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는 12월 109.28로
1년 전과 비교해서 5%가 오른 수준입니다.
이러한 상승률은 22년 7월 (6.3%)에
정점을 찍은 후 낮아지고 있지만,
22년 5월 이후 계속해서 5% 대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반면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6%대로, 14개월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향후
금리 조정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앞으로 1년 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말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8%(2022년 12월 기준)로
높은 편인데요.
소비자 물가는 지금처럼
5% 내외의 모습을 보일 것이라 하여
당분간 고물가 시대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가 어렵다는 말을 뉴스에서
정말 많이 듣는 요즘인데요.
여러 지표를 보고 예상하며
미래를 읽는 눈을 키우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공부하는 곳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대금리차, 올해는 어떻게 될까 (0) | 2023.01.22 |
---|---|
미래 먹거리가 될 로봇 시장 (0) | 2023.01.20 |
계속해서 불어오는 소비 한파 (0) | 2023.01.18 |
공공요금 인상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0) | 2023.01.17 |
근로시간 개편, 어디로 가는가 (0) | 2023.01.1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