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넷플릭스가격
- 생성형 AI
- 대한항공 기업결합
- 노사간협의
- 애플페이 언제
- 장기간 노동
- 넷플릭스
- 현대차 채용일정
- 애플페이 사용처
- 넷플릭스광고
- 소비자물가지수
- 챗GPT 기능
- 주69시간제
- 공공요금인상
- 항공사 기업결합
- 넷플릭스 1위
- 현대차 400명채용
- 신비한동물사전4
- 금리
- 신비한동물사전
- 넷플릭스광고요금제
- 오색 케이블카
- 넷플릭스 영화추천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 공정위 전속고발권
- 주64시간제
- 실내마스크해제
- 독과점문제
- 한국기준금리
- iOS 14 업데이트
펜시브
계속해서 불어오는 소비 한파 본문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종류의 지표가 사용되는데요.
그 중에서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
즉 RBSI는 코로나 떄보다도 더한
소비 저하가 올 것임을 짐작하게 합니다.
이러한 RBSI는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수-
악화될 것이라고 한 기업수) / 응답기업수 *100 +100으로 계산되는데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1분기 RBSI를
조사한 결과 전망치가 64로 집계되었다고 합니다.
RBSI는 100을 기준으로 보는 지표인데요.
100이상인 경우 소매유통업 경기가
더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 경우이며,
100이하인 경우 그와 반대입니다.
이처럼 64는 그렇게 높은 수치라고
할 수는 없는데요.
실제로 RBSI는 2022년 2분기 이후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2022년 2분기 99, 3분기 84, 4분기 73에
이어서 64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어요.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 1분기)에 73,
코로나 충격시기(2020년 2분기)에 66이었다는 점에서
올해 전망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유통업 형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전망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형마트는 83으로 그나마 나은 모습인데요.
설 연휴 특수 및 온라인 배송 등으로 인해
유통이 나름 활발한 모습을
띌 것으로 보입니다.
백화점은 71, 온라인 쇼핑은 65로
대형마트와 비교해서 침체된 모습을
보일 것을 짐작케 합니다.
편의점은 58, 슈퍼마켓은 49의 수치를
보였는데요.
보통 편의점은 불황기에 강하곤 하는데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슈퍼마켓은 꾸준히 낮은 전망치를 보였습니다.
아직 1월 초인데도 불구하고
올 한해 경제 상황이 어떨지
걱정되는 수치들이 많이 보이는데요.
이러한 경제 지표를 보면서
미래 상황을 예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공부하는 곳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먹거리가 될 로봇 시장 (0) | 2023.01.20 |
---|---|
물가, 어디까지 오를까? (0) | 2023.01.19 |
공공요금 인상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0) | 2023.01.17 |
근로시간 개편, 어디로 가는가 (0) | 2023.01.16 |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하는 법 (0)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