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시브

튀르키예 지진 발생원인 피해규모는 어느정도? 본문

공부하는 곳/경제

튀르키예 지진 발생원인 피해규모는 어느정도?

토이니 2023. 2. 13. 19:37

 

 

안녕하세요!
최근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많은 사상자와 부상자가 발생했는데요.


아직 구조되지 못한 사람들을 구하고
또한 생존자들의 안전을 위해서
전 세계 곳곳에서 도움의 손길을
보내고 있습니다.


오늘은 튀르키예 지진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지진은
2월 6일 오전 4시에 발생한 지진으로
최초 진앙지는 가지안테프주입니다.


이는 튀르키예 남부와 시리아 북서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해당 지역에서 피해자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지진의 규모는 7.8의 강진으로
2월 11일 기준 사망자 수가
25,000명이 넘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튀르키예는 아나톨리아
지각판에 있는 나라인데,
북쪽의 유라시아판, 남쪽의 아프리카판,
동쪽의 아라비아판과 맞닿아 있습니다.


이 때 아나톨리아 지각판은
다른 지각판에 비해 그 크기가 작아
다른 지각판의 힘을 더 강하게
받게 되는 면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튀르키예는 과거부터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왔는데요.


많은 전문가는 튀르키예 내에서
북부 단층을 지진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곳으로 꼽았는데요.


그런데 이번에 발생한 강진은
동부 지역에서 일어난 지진이었습니다.


 

 

 

6일 발생한 강진으로 인해
지금 계속해서 구조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현재 튀르키예 재난관리국은
확인된 사망자가 22,327명이라고
밝혔습니다.


사망자 외에도 부상자 8만명,
그리고 집을 잃은 사람들의 수까지
센다면 상당수가 되는데요.


이는 지진이 새벽에 발생한 데다가
지진 피해를 본 지역의
거주민만 1350만 명이라는
큰 수가 살고 있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는 2011년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18,500명)의
피해를 넘어서고 있는데요.


미국 지질조사국에서는
이번 지진으로 인한 튀르키예의
경제적 손실 규모를 튀르키예 GDP의
10% 정도로 예상했습니다.


또한 손실이 100억~1천억 달러
(약 12조 5천억~125조원)이 될 확률을
35%로 잡는 모습입니다.


유엔은 튀르키예, 시리아에서
87만 명이 긴급 지원을 필요로 하는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이렇게 튀르키예의 상황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전 세계 곳곳에서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총 118명으로
구성된 긴급구호대를 보내
지금도 계속해서 소중한 생명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통 72시간이라는 골든타임을
넘어서도 생존자를 구해내고 있으므로


더 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
전 세계에서 모인 구호대가
힘을 합치고 있다고 합니다.


튀르키예는 6.25 전쟁 당시
네 번째로 많은 병력을 보내
형제의 나라로 불리는 곳인데요.


이에 여러 기업과 연예인들,
여러 기관을 통해서
도움의 손길을 건네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튀르키예는 사망자가
25,000명이 넘어간 상황이지만
골든타임을 지난 지금도
생존자를 구해내고 있어
계속해서 도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건물 더미에
남아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으로
보여 계속해서 구조작업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건물이 아예 무너지는 등
피해 규모가 큰데다가
날씨도 영하권에 악천후 등
환경이 좋지 않아


구조작업 및 생존자들의 건강에도
걱정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식량 등이 떨어지자
무장투쟁이 생기는 등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21세기 들어 최악의 재난이라고
꼽히고 있는 튀르키예 지진인데요.


이에 따라 지진의 위험성에 대해
다들 입을 모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스탄불과 일본 수도권의
강진 위험성에 대해 나오는데요.


이번 튀르키예 강진으로 인해
이스탄불 근처의 단층에
지진 에너지가 더해졌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난카이 해구에서
향후 30년 안에 규모 8~9 정도의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을 70% 이상이라고
이야기하곤 하는데요.


이는 일본의 피해에 그치지 않고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사전적인 대비가 필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