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현대차 400명채용
- 신비한동물사전4
- 생성형 AI
- 한국기준금리
- 장기간 노동
- 공정위 전속고발권
- 대한항공 기업결합
- 넷플릭스 1위
- 주69시간제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 현대차 채용일정
- 공공요금인상
- 넷플릭스광고
- 넷플릭스 영화추천
- iOS 14 업데이트
- 오색 케이블카
- 신비한동물사전
- 실내마스크해제
- 넷플릭스광고요금제
- 챗GPT 기능
- 넷플릭스
- 애플페이 사용처
- 주64시간제
- 넷플릭스가격
- 항공사 기업결합
- 애플페이 언제
- 노사간협의
- 금리
- 독과점문제
- 소비자물가지수
펜시브
챗GPT 기능 새로운 인공지능의 시작 본문

안녕하세요!
요즘 인공지능에 관한 관심이 뜨거운데요.
그중에서도 이제 구글은 끝났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
인공지능이 있습니다.
바로 챗GPT (Chat GPT) 인데요.
단순히 묻는 말에 대답을 해주는 AI에서
더 발전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는
챗GPT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챗GPT란 대화 전용
챗봇 인공지능인데요.
이는 미국의 스타트업인 오픈AI(OpenAI)가
출시한 AI로, 출시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전 세계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전에 출시되어 사용되던 AI와
가장 다른 점은 사용자와
어색함 없이 대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존의 인공지능이 사용자에게
일방적인 정보를 주는 기능을 했다면,
챗GPT의 경우 이른바 '생성형 AI'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챗GPT는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출시 5일 만에 하루 이용자 100만 명,
출시 2달 이후에는 1000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챗GPT는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학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챗GPT의 영향력은
개인의 활용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으로도 활용될 조짐을 보이는데요.
실제로 이러한 생성형 AI의 시장 전망은
2030년 즈음에는 작년보다
10배 가까이 커질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문체부에서는 챗GPT를 활용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데요.
챗GPT 활용을 위한 직원 교육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굿닥이라는 서비스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서
건강 서비스의 활용도를 높일 것이라고 합니다.
반도체 분야도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실제로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합니다.
2020년 220억 달러에서
2026년 861억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고 해요.
현재 혹한기를 보내고 있는
반도체 분야에 새로운 성장의 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쇼핑몰 등이
웹페이지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챗GPT를 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늘 어두운 그림자를 동반하곤 했는데요.
챗GPT는 전보다 쉬운 방법으로
피싱 사이트를 만들 수 있게 해서
이러한 것에 대한 제재가 필요할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실제로 이러한 피싱 사이트에 속아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피해를 볼 수 있으니
조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직 챗GPT가 완벽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생성형 AI인 챗GPT는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학습해
대답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를 학습하거나
주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경우
잘못된 정보를 그럴듯하게 말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뉴스 기사를 보면
이완용을 독립지사라고 말하거나
인물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기 때문에
챗GPT에 온전히 의존하는 것은
아직 위험한 것으로 보입니다.
과거에는 까마득한 미래기술로만
여겨졌던 인공지능이
한 걸음씩 우리 생활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하면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을
현명하게 이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적절한 규제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공부하는 곳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자동차 생산직 대규모 채용 예상 전형일정 정리 (0) | 2023.02.27 |
---|---|
애플페이 도입 임박? 국내 페이 시장 어떻게 될까 (0) | 2023.02.24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 결과 7월에 결론난다 (0) | 2023.02.20 |
공정위 카카오 모빌리티에 과징금 257억 부과 (0) | 2023.02.18 |
국민연금 뜻 수령나이 받는방식 등 정리 (0) | 2023.02.15 |